




Lives & works in Seoul, Korea
정보람은 문자와 기호를 넘어, 감정과 흐름의 시각적 언어로서 ‘쓰기’의 개념을 확장하는 작가입니다. 그녀의 작업은 단순히 텍스트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붓질의 움직임과 감정의 유동성을 포착하며 캘리그라피를 역동적이고 유기적인 예술 표현으로 변화시킵니다.
어린 시절부터 손글씨에 강한 끌림을 느껴온 정 작가는, 20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캘리그라피를 익히기 시작했습니다. 그녀는 글자가 고정된 형태를 넘어 다양한 감정을 담아낼 수 있다는 사실에 매료되었고, 글씨는 구조를 따를 수도 있지만 붓의 궤적을 따라 자유롭게 흘러갈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그녀는 이러한 전이의 순간들에 집중하며, 쓰기가 고정된 역할을 넘어 살아 숨 쉬는 존재로 확장될 수 있음을 탐구합니다.
그녀의 작업은 즉흥성과 구성의 균형 위에 서 있습니다. 초기 붓질은 감정과 직관에 따라 이뤄지지만, 과정 속에서 자연스러운 질서가 형성되며 즉흥성과 계획된 디자인 사이의 긴장감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마치 음악의 즉흥 연주처럼 직관적이면서도 정교한 접근 방식입니다. 정 작가는 또한 손으로 염색한 한지를 사용하여, 잉크의 흡수와 색의 번짐, 재료 간의 예측 불가능한 상호작용을 통해 독창적인 미감을 완성해 나갑니다.
작가의 작품에서 반복되는 선은 주요한 특징입니다. 붓질이 서로 얽히고 겹치면서 바람의 흔적이나 물결의 흐름을 닮은 리듬을 만들어냅니다. 이 흐름 속에서 글자는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 끊임없이 흩어지고, 사라졌다가, 다시 연결되는 순환을 반복합니다. 그녀에게 ‘쓰기’는 단순한 기록 행위가 아닌, 속도와 밀도, 감정의 강도를 탐색하는 과정이며, 관객은 이를 문자로서가 아닌 감각적 경험으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작가의 예술 철학에서 서예는 단순한 캘리그라피가 아닌, 내면의 감정과 외부 세계를 매개하는 조형적이고 시각적인 언어입니다. 그녀에게 ‘쓰기’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과 감정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의 순간들이 작품의 일부가 됩니다.
현재 그녀의 작업은 한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영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를 공부하며 붓질과 구성의 관계를 확장하고자 합니다. 그녀에게 캘리그라피는 언어의 장벽을 넘어서는 감각적 경험이며, 글쓰기의 본질적 아름다움을 탐구하는 예술입니다. 그녀의 손글씨는 시간과 감정을 기록하는 매체가 되어, 관객이 문자 이상의 흐름과 리듬을 통해 깊이 있는 몰입을 경험하도록 합니다.
Jung Boram is a calligraphy artist who expands the concept of writing beyond mere symbols and characters, transforming it into a visual language of emotion and flow. Her work does not simply convey textual meaning; rather, it captures the movement of brushstrokes and the fluidity of emotions, making calligraphy a dynamic and organic form of artistic expression.
From an early age, Jung was deeply drawn to handwriting. In her late twenties, she began practicing calligraphy in earnest and became fascinated by how letters could extend beyond their fixed forms to embody a spectrum of emotions. Letters can adhere to strict structures, but they can also shift freely along the trajectory of the brush. She focuses on these transitional moments, exploring how writing can transcend its conventional role and function as a living, evolving entity.
Her artistic process balances spontaneity and structured composition. While her initial brushstrokes are guided by instinct and emotion, a natural order emerges through the process, forming an interplay between improvisation and deliberate design. This approach is akin to musical improvisation—intuitive yet refined. Jung also incorporates hand-dyed hanji (Korean traditional paper) into her work, adding depth and texture to her compositions. The absorption of ink, the way colors spread, and the unpredictable interaction between materials become essential elements in shaping her unique aesthetic.
A recurring feature in her work is the repetition of lines. Her brushstrokes intertwine, creating a rhythm reminiscent of traces left by the wind or the flowing currents of water. Within this fluid movement, letters are never static; they dissolve, scatter, and reconnect in an endless cycle. In her practice, writing extends beyond the act of inscription—it becomes an exploration of speed, density, and emotional intensity, allowing the viewer to experience the work on a sensory level rather than solely as written text.
In Jung Boram’s artistic philosophy, calligraphy is not merely a form of typography but a visual and sculptural language that mediates between inner emotions and the external world. Writing, in her view, is not fixed but constantly evolving with time and emotion. Each moment of transformation becomes part of the artwork itself.
While Jung's work is currently rooted in the Korean writing system, she actively studies various languages, including English,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rushstrokes and composition on a broader scale. For her, calligraphy is a sensory experience that transcends linguistic barriers. Through her art, she delves into the intrinsic beauty of writing, transforming it into a medium that records time and emotion. Her handwritten strokes create a flowing, organic rhythm that invites viewers to engage with the work beyond its literal meaning, offering a deeply resonant and immersive experience.